화열검 2023. 9. 2. 22:58
728x90
반응형
SMALL

출처 현대자동차

 

예전부터 들었던 생각이다. 우리나라는 특히나 비보호가 위험하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는 어느정도 규율과 법이 정해져 있어서 그나마 비보호에 대해 안전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많이 위험하다는 것이다. 특히나 좌측비보호는 운전초보자들에게는 지옥이다.

나도 운전을 처음할때는 그랬다. 비보호뿐만 아니라 유턴도 정말 어려웠다.

일단 비보호라는 체계를 알아야 유턴도 할 수 있으니, 교통표지판도 알아야할 뿐더러 센스도 키워야한다.

비보호가 왜 생겨났는지는 모르겠지만, 외국을 보면 대부분 회전교차로(라운드 어바웃)을 사용한다.

 

회전교차로(라운드 어바웃)에 대한 지식을 상세히 전달할 수 없어서 나무위키를 사용해보았다.

회전교차로(라운드 어바웃)은 도로 교통을 원활하게 흐르게 하기 위한 교통 설계 요소 중 하나입니다. 라운드 어바웃은 원형 교차로로, 차량들이 우회전하거나 방향을 변경할 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설계입니다. 이것은 주로 교통 체증을 줄이고 교통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라운드 어바웃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운전자들에게 효과적인 사용 방법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라고 한다. 확실히 우리나라도 호주를 따라서 회전교차로(라운드 어바웃)이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광역시뿐만 아니라 시,군 등에서도 활발하게 생겨나고 있으니 조만간 비보호가 없어질 것 같지만... 역시나

단일차선이나 좁은 길에서는 비보호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예산문제도 있으니... 회전교차로(라운드 어바웃) 작은 것 하나 만드는 데 2주정도 소요되는 것 같고... 사거리나 오거리에 큰 회전교차로(라운드 어바웃)는 한달이상 소요되는 느낌이었다. 확실히 회전교차로(라운드 어바웃)이 편하긴 하지만... 그것을 만드는 데 기간동안 엄청난 교통체증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감응신호 (출처 해시넷)

 

비보호도 적재적소에 만들어둔다면 정말 편하다고 생각한다. 요즘은 비보호가 정말 많이 줄어들었고, 그대신에 감응신호라는 것을 만들었다.  감응신호에 대한 지식도 상세히 전달할 수 없어서 나무위키를 사용해보았다.

교통 감응신호는 도로 교통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이 신호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통 상황에 따라 신호의 색깔을 변경하여 운전자들에게 안전한 교통 흐름을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일반적으로 교통 감응신호는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시간 기반 신호: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신호가 변경됩니다. 예를 들어, 녹색, 노란색, 빨간색 순으로 신호가 변경되는 고정된 주기가 있습니다.
  2. 교통 감응 신호: 교통 감응 장치(예: 차량 검지 루프,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실제 교통 상황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신호를 조절합니다. 교통 감응 신호는 도로 상황에 따라 녹색 신호가 더 길게 유지되거나 빨간색 신호가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교통 감응신호는 도로 안전과 교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로 교통 흐름을 신속하게 조절하여 교통 혼잡을 줄이고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위키에서 말한 것처럼 차량걸치기가 설치된 곳이 비보호자리인데, 차량걸치기에 차량이 올라가면 녹색신호가 들어온다.

다만 순차적으로 신호등이 바뀌고 난 후 차량걸치기에 차량이 올라가 있다면 그 때 불이 들어온다는 뜻이다.

바로 불이 들어오는 것은 아니다. 무튼, 비보호라는 제도가 너무 사고도 많이 일어나고 좋지 않기 때문에 교통이 많이 발전한 느낌이다. 원래 옛날에도 감응신호가 있긴 했지만 지금처럼 이렇게 널리 설치가 되는 건 이래없는 일이다.

계속해서 감응신호도 설치되고 있는 추세고 아마 이 추세로 간다면 대부분의 비보호가 없어질 지도 모를 일이다.

 

오늘은 그냥 간단하게 비보호에 대한 내생각과 위키의 글을 퍼다 날랐다.

많이 부족한 지식력이지만 계속해서 공부하는 중이니... 언젠간 정의롭고 지혜로운 글을 쓰지 않을까 싶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